퍼셉트론의 등장

image

가지돌기를 통해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 신호가 일정 임계치 이상을 넘으면 축삭돌기를 통해 신호가 전달된다.

image

퍼셉트론 역시 입력이라는 신호를 받고 어떤 가중치와 곱해져 임계치를 넘으면 1을 출력 (이때 가중치는 입력값의 중요도에 따라 값이 커지거나 작아짐.)

image

0과 1로 출력하도록 사용되는 계단함수. 이를 활성화 함수라고 함.

단층 퍼셉트론

image

입력층과 출력층만 있는 것을 단층 퍼셉트론이라고 함.
단층 퍼셉트론은 직선식으로만 게이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image

AND, NAND, OR 게이트 문제를 해결가능.
XOR 게이트 문제는 해결하지 못함.

다층 퍼셉트론(MLP)

image

실제로 XOR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ND, OR, NAND게이트의 조합으로 해결이 가능.

image

입력층, 출력층 이외에 은닉층이 추가되면 이를 다층 퍼셉트론이라고 함.

단층 퍼셉트론의 단점인 평면에서 해결하려는 것을 은닉층을 추가하면서 평면을 휘어주는 방법을 생각함.

image

하나의 퍼셉트론으로 XOR문제를 해결하지 못 하기 떄문에 추가의 퍼셉트론이 필요함.

-> 그렇다면 XOR문제를 해결 가능

심층신경망

image

위에서 은닉층 1개이상이 추가되면 다층 퍼셉트론이라고 함. 이때 2개 이상의 은닉층이 있다면 이를 심층신경망이라고 하고 이를 자동적으로 옵티마이저와 손실함수를 통해 최적화 하는 것을 딥러닝이라고 함.

Tags:

Categories: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