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 구글 애널리틱스 보고서-3
지금까지 페이지 및 화면 클래스, 방문 페이지 보고서를 빅쿼리를 통해 데이터를 추출하고 태블로로 시각화를 진행했는데요. 이번 내용은 구글 애널리틱스가 제공하는 전환과 관련된 보고서를 똑같이 제작해보려고 합니다. 전환이라는 것이 무엇일까요?
전환은 목표와 같습니다. 만약 어떤 쇼핑몰을 운영한다고 해보겠습니다. 이때 쇼핑몰 운영자가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쇼핑몰 운영자는 고객으로부터 구매를 원할 것입니다. 이렇듯 구매와 같이 목표가 달성되었을 때 전환이 되었다고 말을 하게 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4는 이벤트 기반으로 데이터가 수집되고, 특정 이벤트마다 목표를 설정할 수가 있습니다. 특정 고객이 그 이벤트를 달성하면 전환이 1증가하게 되는 것이지요.
google이 제공하는 데모 계정의 데이터는 page_view, view_item, first_visit, predicted_top_spenders, add_to_cart, begin_checkout, purchase 8가지의 이벤트를 전환 이벤트로 설정한 것 같습니다. 지금은 8가지의 전환 이벤트이지만 제가 분석한 데이터는 2020년 데이터로 view_cart, predicted_top_spenders는 그 당시는 전환 이벤트가 아니었나 봅니다.
빅쿼리를 통해 구글애널리틱스4가 제공하는 보고서 형태를 추출 해 보겠습니다.
전환수
먼저 전환수 입니다. 여기서 확인하는 것은 전환 이벤트로 설정한 이벤트들의 전환이 얼마나 되었는 지를 판단하게 됩니다.
전환 이벤트로 6개를 설정했는데, page_view 이벤트가 전환이 가장 많이 되었습니다. 아이템을 보고 이리저리 사이트를 돌아다니므로 page_view가 가장 당연히 높은 것을 볼 수가 있으며, 많은 고객이 사이트를 사용한다고 해도 구매하는 인원은 그 중 일부입니다. 따라서 구매 이벤트는 가장 적은 2201번만 전환이 되었습니다.
총사용자
총 사용자는 특정 이벤트의 기능이 필요한지를 가를 수 있는 지표입니다. 만약 UI를 설계해서 특정 버튼을 만들었다고 해보겠습니다. 이때 사람들이 그 이벤트를 사용하지도 않는데, 있으면 과연 그게 고객의 입장에서 좋은 UX 경험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을 것 입니다.
따라서 이벤트의 총 사용자를 파악해서 얼마나 많은 고객이 이 이벤트를 사용하는 지 확인하는 증요한 지표입니다.
가장 많은 사용자가 사용한 이벤트는 page_view 이며 위와 마찬가지로 구매 버튼이 가장 낮은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전환과 비교하며 총 사용자는 값이 작은 것을 볼 수가 있는데요, 전환은 같은 사용자가 여러번 누른 것이 중복으로 집계가 되어 이러한 차이가 일어나는 것 입니다.
총수익
이번은 각 이벤트마다 수익이 얼마인지 확인하는 총수익 지표입니다.
물론 구매 이벤트만 총수익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광고같은 것으로부터도 수익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분석한 데이터는 구매 이벤트만 수익이 있습니다. 대략 한국 돈으로 2억 가까이 되는 가치 입니다!
전환과 관련한 지표들을 빅쿼리를 통해 데이터를 추출해보았습니다. 각 지표들을 데이터로 직접 추출하고 정합성 검증을 통해 구글 애널리틱스4가 제공하는 지표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